Infra/리눅스

[Virtual Box] Virtual Box에 SSH 설치 + MobaXterm으로 원격 접속하기

Nellie Kim 2024. 4. 17. 11:23
728x90

VirtualBox에서 작업하다 보면 호스트 키, 복사/붙여넣기 등 불편한 부분이 많아서, 

SSH를 통해 접속 프로그램(MobaXterm 등)으로 원격 접속해서 편하게 작업하려고 한다. 

1. VM에 SSH 설정

접속 프로그램인 MobaXterm 사용을 위해 로컬 CentOS 7에 SSH 설정을 하려고 한다.

 

which sshd

 

명령어를 사용해 현재 로컬 Rocky Linux에 SSH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경로가 /usr/sbin/sshd 에 있다고 나타났다. 

 

1) port 설정

 

port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vi /etc/ssh/sshd_config

 

#Port 22 라고 되어있는 부분을 주석을 풀어준다. 

만약 22번 말고 다른 포트번호를 사용하고 싶다면 변경해주어야 한다!

 

2) 로그인 제한 풀기

로그인 제한도 풀어주자. 

#PermitRootLogin prohibit-password 로 되어있는데, 주석을 풀고

PermitRootLogin yes 로 수정해준다. 

 

3) sshd service 재시작

sshd service를 재시작하여 변경사항을 적용해주어야 한다. 

systemctl restart sshd.service

 

 

2. 방화벽 설정 

방화벽 설정도 해주어야 한다. 

netstat -tnlp | grep LISTEN

 

명령어로 현재 LISTEN 상태인 port 를 확인해준다. 

 

아래와 같이 나온다면, net-tools 를 설치해주자. 

 

yum install net-tools

 

 

설치가 완료되면, 다시 netstat -tnlp | grep LISTEN 명령어를 입력하여 포트 확인

 

 

방화벽에 포트번호를 추가해서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 22/tcp 방화벽을 해제하고,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22/tcp 

# 방화벽을 재시작하고, 
firewall-cmd --reload

# sshd service 재시작 
systemctl restart sshd.service

 

 

3. 포트포워딩 해주기 

1) 현재 로컬 IP 및 가상머신 IP 확인

윈도우 환경의 cmd 창을 열어서 ipconfig로 현재 로컬 ip 주소를 확인

 

가상머신에 

hostname -I 

를 입력해서 가상머신에 할당된 ip 도 확인해준다. 

\

 

2) VM 포트포워딩 설정

이제 VM 관리자 > 설정 > 네트워크 > 고급 > 포트포워딩 클릭 

 

호스트 IP에 내 로컬 IP

게스트 IP에 가상머신 IP 를 입력해준다.  

 

호스트 포트, 게스트 포트도 22번으로 입력해준다. 

확인을 누르면 이제 원격 프로그램 사용을 위한 SSH 설정이 끝난다. 

이제 MobaXterm  에서 접속을 할 수 있다. 

 

 

4. MobaXterm 접속

 

 

MobaXterm에서 성공적으로 접속이 완료되었다!!! 야호!!!!!

이제 도커 설치와 카프카 설치를 해 볼 예정이다!

 

 

출처

https://blog.naver.com/ttaun0204/222851617875

 

[CentOS 7] CentOS 7 SSH 설정

VirtualBox에서 작업하다 보면 호스트 키, 복사/붙여넣기 등 불편한 부분이 많다😭 SSH를 통해 접속...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ttaun0204/222851726417

 

[Tool] MobaXterm 설치 및 로컬 CentOS 7 서버 연결

☝️ 로컬 CentOS 7 서버에 SSH 접속을 위해 MobaXterm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게시글 확인 필수 ☝...

blog.naver.com